■ 기능 제공 요금제 : 모든 요금제
■ 사용 가능 권한 : 커스텀 권한
접근 경로 : 채용 관리 > 채용 관리 설정 > 지원자 연락 설정 > 채팅 메시지 설정
채팅 메시지란 지원자가 채용 담당자와 주고 받은 연락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채팅 방식의 의사소통을 의미합니다.
On/Off 버튼을 통해 채팅 메시지 기능 사용 여부를 설정합니다.
메시지 사용을 On으로 설정하면, 지원자가 수신하는 이메일이나 카카오 알림톡 하단에 [메시지 보기]라는 버튼이 노출됩니다. 그리고 지원자가 이 버튼을 클릭하면 1:1 메시지 창에서 채용 담당자와 주고 받은 연락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시지 창에는 주고 받은 채팅 메시지와 메일이 모두 기록됩니다.
메시지 사용을 Off로 설정하면, 지원자가 수신하는 이메일이나 카카오 알림톡 하단에 [메시지 보기]라는 버튼이 노출되지 않으며 지원자에게 1:1 메시지 창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 지원자는 메일을 통해서만 소통할 수 있습니다.
메시지 사용을 Off로 설정 시, 지원자에게 전송한 메일이 스팸 처리되거나 차단될 경우 지원자가 중요한 채용 관련 안내를 확인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채팅 메시지 기능을 사용하여 지원자와 연락하다가 이 기능을 끄면 어떻게 되나요?
먼저, 이 기능을 끈 이후에 전송된 메일이나 카카오 알림톡 하단에는 메시지 보기 버튼이 노출되지 않습니다.
다음으로, 기능을 켰을 당시에 보냈던 메일과 카카오 알림톡에는 여전히 메시지 보기 버튼이 노출되지만, 클릭하면 "메시지 창이 비활성화되었습니다"라는 알림이 제공됩니다.
채팅 메시지 사용을 On으로 설정 시 지원자의 채팅 메시지 기능 사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지원자가 메시지 창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지를 의미합니다.
[모든 지원자]로 설정 시, 1:1 메시지 창을 통해 모든 지원자가 기업 측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진행 중인 지원자만]으로 설정 시, 채용 과정이 진행 중인 지원자와 최종 합격한 지원자가 1:1 메시지 창을 통해 기업 측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불합격 처리된 지원자는 메시지 창에 기록된 연락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으나, 메시지는 전송할 수 없습니다.
[사용 안 함]으로 설정 시, 모든 지원자가 메시지 창을 통해 채용 담당자가 전송한 연락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으나, 메시지는 전송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에 지원자는 메일로만 회신이 가능합니다.
지원자가 메시지 창에 접근 시 지원자 본인 인증을 진행할 지 여부를 설정합니다.
메시지 링크 인증을 [사용]으로 설정 시, 지원자의 정확한 정보를 입력한 경우에만 메시지 창 확인이 가능합니다. 지원자 인증 정보는 이메일을 우선으로 확인하며, 이메일 정보가 없으면 연락처, 이름 순으로 확인합니다. 담당자가 지원자의 정보를 수정한 경우에는 수정된 값으로 인증을 요청합니다.
메시지 링크 인증을 [사용 안 함]으로 설정 시, 별도의 인증 절차 없이 메시지 창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